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2)
[정보처리기사] 4-7. 인터넷 / 네트워크 / 프로토콜 / TCP/IP 1. 인터넷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전 세계 수많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들이 연결된 광범위한 컴퓨터 통신망 인터넷은 군사목적으로 시작됨 인터넷은 유닉스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함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는 고유한 IP주소를 갖음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브리지, 라우터, 게이트웨이가 사용됨 백본(Backbone) : 다른 네트워크 또는 같은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중추적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로, 보통 인터넷의 주가 되는 기간망 구조적 방법론의 절차 : 타당성 검토 단계 → 계획 단계 → 요구사항 분석 단계 → 설계 단계 → 구현 단계 → 시험 단계 → 운용/유지보수 단계 1-1. IP 주소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 숫자로 8비트씩 4부분,..
[정보처리기사] 5-4. 네트워크 구축 1. 성형 (Star, 중앙 집중형) 중앙에 중앙 컴퓨터가 있고 이를 중심으로 단말장치들이 연결되는 중앙 집중식의 네트워크 구성 형태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방식으로 회선을 연결 단말장치의 추가와 제거가 쉽지만, 중앙컴퓨터가 고장나면 전체 통신망의 기능이 정지됨 중앙 집중식이므로 교환 노드의 수가 가장 적음 2. 망형 (Mesh, 네트워크형) 모든 지점의 컴퓨터와 단말장치를 서로 연결한 형태로, 노드의 연결성이 높음 많은 단말장치로부터 많은 양의 통신을 필요로하는 경우가 유리 공중 데이터 통신망에서 사용, 통신 회선의 총 경로가 가장 긺 통신 회선 장애 시 다른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가능 3. 버스형 (Bus) 한개의 통신 회선에 여러대의 단말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 // ..